안녕하세요~! 인슈어 블로그입니다.
일단 오늘은 비가 와서 비부터 보여드릴게요(?)
※스페이스 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
전 비를 좋아하는데 특히 더운 날씨가 계속되다 이런 비가 오면 정말 기분이 좋아집니다.
이번엔 우리가 사는 지구, 그리고 달을 탐험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ㅎㅎㅎ
지구를 보지 못하신 분은 없을 거예요 일기예보만 봐도 지구를 떡하니 보여주니깐요
익숙한 지구지만 SpaceEngine으로 지구를 더 세밀하고 실감 나게 탐험해봅시다! ㅎㅎㅎㅎ
위 사진은 우리 지구가 있는 우리 은하(Galaxy Milky Way)입니다.
이 우리 은하 안에 수천억 개의 별이 있죠(태양같이 스스로 빛을 내는)
이제 지구를 검색해서 탐험해봅시다!
- 검색하는 법-
왼쪽 아래의 사이드 메뉴 중
이것을 클릭!
그럼 이런 'FIND OBJECT'라는 메뉴가 뜨는데 여기서 입력란에 'earth'라고 검색한다.
그다음 검색된 Earth를 클릭한후
오른쪽 하단 'Go to'라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렇게 순간이동할 수 있습니다!
익숙한 지구의 모습입니다. 저기 우리나라도 보이고 중국, 일본도 보이네요 ㅎㅎㅎ
스페이스 엔진에서는 왼쪽 상단에 그 행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있습니다.
지구의 스펙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맨 위부터 Class: 지구가 땅과 바다가 있고 보통 온도에 생명이 있다는 걸 말하며
Life: 다세포 생물이 산다는 걸 말합니다.
Distance: 지금 스페이스 엔진에서 나와의 거리를 말하고
Lat/Lon: 현재 나의 좌표
Diameter: 지구의 지름을 말하고
Mass: 질량을 말합니다
ESI: '지구 유사성 지수'라고 하는 건데 지구가 1이며 1과 가까울수록 지구와 유사한 걸 말합니다.
Apparent magnitude: 우리말로 '겉보기 등급'으로 지구의 관측자가 보는 별의 상대적 밝기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
Semimajor axis: '반장 축'이라고 하며 쉽게 말하면 지구가 태양을 도는 궤도를 원으로 그리고
이 원의 반지름을 말합니다.
Orbital period: '공전 주기'를 말하며 지구가 태양을 한번 돌면 1년이죵?
Rotaion period: '자전주기'를 말하며 보통 지구가 한 바퀴 돌면 24시간이라 하지만 더 정확한 값은
23시간 56분 4초네요
Solar day: '태양일'이라고 하며 낮, 밤 해서 24시간이라 합니다
Axial tilt: 자전축 기울기를 뜻하며 약 23.5도입니다.(이 기울기로 계절의 변화가 생깁니다)
Age: 행성의 나이를 뜻합니다
Gravity: 중력의 크기를 말하며 지구는 1g입니다.
Seas composition : 바다를 구성하는 물질 요소
Atom composition : 공기를 구성하는 물질 요소
Atom pressure : 기압을 말하며 지구는 1 기압
Temperature : 평균온도, 지구의 평균온도는 약 13~14도네요(온난화 현상으로 점점 올라간다고 하던데...)
Greenhouse eff : 온실효과를 말합니다(온실효과로 33도까지 올라간다는 걸 말하는 거 같습니다)
Number of moons : 위성의 개수를 말합니다, 지구의 위성은 달 하나입니다! ㅎㅎ
되게 많은 정보를 알려주네요(일일이 찾느라 힘들었습..)
지구의 공기는 대부분 질소, 산소, 아르곤으로 구성되어 있다지만 우리나라에 미세먼지 심할 땐 저 구성정보를 수정해야
될 것 같습니다 ㅠㅠ
지구에 대해 신기한 정보를 알아볼까요?
- 지구는 완전한 구 모양이 아니다? -
이렇게 축구공처럼 이쁜 지구가 실제로는 완전한 공 모양이 아니라고 합니다.
지구를 실제 모양과 더 근접하게 그린 게 '지구 타원체' 그리고 '지오이드'입니다.
지구 타원체가 뭔지 알아보면
지구의 모양을 실제처럼 표현한 회전 타원체를 말한다. 지구의 형태는 완전한 구(sphere)가 아니고 적도 반지름이 극 반지름보다 약간 긴 타원체이며, 그 표면은 산과 바다 등으로 굴곡 있게 표현되고 있다. 지구 타원체는 이런 지표면의 요철을 무시하고, 적도 반지름과 편평도(扁平度)만으로 지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지구 타원체는 감각 측량의 기준면이며, 지구의 반지름, 표면적, 부피 측정, 편평도 산출 등에 이용된다. 타원체의 크기와 모양은 측정하고 정리한 자료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되어 왔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은 헤이 퍼드(J. F. Hayford)의 타원체이다.
음 지구 타원체를 알아보니 이것조차 딱 정해진 게 아니라 다양한 타원체가 있다는 말도 있네요(어렵네..ㅠㅠ)
그럼 지오이드를 알아볼까요
평균 해수면을 이용하여 지구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지구의 모양을 나타내는 데는 지표면을 그대로 나타내는 방법과 지구를 단순히 회전 타원체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지표면을 실제로 나타내기란 매우 어렵고, 지구 타원체를를 이용하는 방법은 지표면의 요철(凹 · 凸)을 전혀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지표면보다는 단순하면서도 회전 타원체보다는 실제에 가깝게 지구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 지오이드이다. 지오이드는 지표면의 70%를 차지하는 해수면의 평균을 잡아서 육지까지 연장한 것으로 어디에서나 중력 방향에 수직이며, 해양에서는 평균 해수면과 일치하고 육상에서는 땅 속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그 높이가 항상 0m로, 측량 해발고도의 기준면이 된다. 지오이드면은 실제 지구 모양과 지구 타원체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생각하면 기억하기 쉽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지오이드는 지구 타원체가 지표면의 울퉁불퉁함(요철)을 전혀 나타낼 수 없어 이를 보안해서 나온 게 지오이드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지오이드가 어떤지 볼까요?
!!!!!
우리가 평소 알던 지구랑은 정말 다르네요(감자 같기도 하고...)
그래도 제 마음속에 지구는 아직 동그랗습니다..ㅎㅎㅎㅎ
- 지구가 태양풍으로부터 안전한 이유 -
나중에 탐험해보겠지만 태양은 어마어마하게 크고 무겁고 뜨겁다는 걸 모두 아실 거예요
우리 지구에서 149,600,000km(빛의 속도로 8.31분)나 떨어져 있지만 여름만 돼도 엄청 덥죠(ㅠㅠㅠ 너무 더워..)
이렇게 뜨거운 태양에선 큰 폭발이 일어나는데 이걸 '플레어'라고 합니다.
이 큰 폭발인 '플레어'가 엄청 빠른 플라스마 폭풍을 일으켜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우리 지구에도 통신오류, gps고장, 정전 같은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태양으로 인해 지구가 멸망한다는 영화도 있을 정도죠
태양에서 상시 지구로 불어오는 이런 폭풍 바람(?)을 '태양풍'이라 하는데 속도가 초속 450km라고 하더라고요
(1초 만에 서울~부산까지 갈 정도네요 ㄷㄷ)
이런 무시무시한 태양풍이 매일 지구를 공격해도 우리가 안전한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 덕분입니다.
이렇게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을 막아줘서 우리가 평화롭게 살 수 있는 겁니다 ㅎㅎㅎ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이 만나 아름다운 광경을 연출하기도 하는데 바로 '오로라(Aurora)'입니다.
스페이스 엔진으로 한번 볼까요?
하얗게 빛나는 게 태양입니다(무슨 자동차 라이트 같네)
그 밑에 지구 표면에 초록색 빛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더 가까이서 볼까요?
정말 이쁩니다... 태양풍이 무시무시 한 건 알지만 이쁜 건 이쁘다고 해줘야죠! ㅎㅎㅎ
정말 직접 눈으로 보고 싶습니다
이번엔 지구를 탐험해 보았습니다.
(원래 달과 함께 탐험해보려 했는데 너무 길어져서 다음 글에 달을 탐험해보겠습니다ㅜㅜ)
재미있으셨나요? ㅎㅎ
우리 모두의 집 '지구' 영원히 아름다웠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스페이스엔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6.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Sirius) (0) | 2019.08.20 |
---|---|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5. 외로운 명왕성 (0) | 2019.08.18 |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4. 제 2의 지구, 화성 (0) | 2019.08.17 |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3. 달 그리고 닐 암스트롱 (0) | 2019.08.13 |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으로 하는 우주탐험] 1. SpaceEngine이란? (0) | 201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