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이스엔진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22. 별의 중심 '북극성(Polaris)',북극성 찾는법

안녕하세요. 인슈어블로그입니다.

추석은 잘 보내셨나요?

다행히 추석날엔 비도 안 오는 화창한 날씨라 가족이나 친척들이랑 나들이 가신분들도 많으실 거 같습니다.

성묘가신분들도 오랜만에 화창한 날씨에 잘 다녀오셨을 거라 믿습니다.

 

'스페이스엔진으로 탐험하는 우주'

 

'북극성'

이번 시간에는 별 중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정도로 유명한 별중에 별 '북극성(Polaris)'을 탐험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북극성이 어떤 별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북극성이란?

북극성(Polaris)은 말 그대로 하늘의 북쪽에 위치한 별입니다. 

'작은곰자리 알파'라고도 불리며 작은곰자리에서 가장 밝으며 밤하늘 별 중엔 50번째로 밝은 별입니다.

지구에서 보면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중성계 입니다.

가장 밝은 폴라리스 Aa가 있으며 폴라리스 B, Ab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또 더 멀리에는 폴라리스 C,D가 있습니다.

 

북극성의 위치

스페이스엔진으로 북극성을 탐험해보겠습니다.

북극성은 위에 말씀드린것 처럼 '작은곰자리(Uras Minor)'에 속한 가장 밝은 별입니다. 

보시다시피 북극성은 딱 북쪽 정중앙에 있는 별은 아닙니다. 

그래도 북쪽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있어서 북극성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참고로 북극성은 지구에서 385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북극성의 역할

북극성은 거의 지구 자전축이 우주에 북쪽에 닿는 정확한 지점에 위치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밤하늘에는 북극성은 고정인 채로 주위에 별들이 도는 것처럼 보입니다.

북극성은 거의 북쪽 중심에 위치해 있어서 지평선과 이 별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면 관측자의 위도가 나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옛날 사람들은 북쪽으로 갈수록 북극성의 고도가 커지는 걸로 지구가 둥글다는 걸 알아냈습니다.

 

다중성계 북극성

말씀드린것처럼 북극성은 별이 여러 개로 이뤄진 '다중성계'입니다.

그렇다면 스페이스엔진으로 하나하나 탐험해보겠습니다.

 

 

북극성(Polaris)에 도착했습니다. 

멀리서 찍어서 작지만 그래도 Polaris Aa,Ab,B 가 각각 보입니다.

하나하나 보겠습니다.

 

'북극성(Polaris) Aa'

폴라리스 Aa입니다. 

태양보다 4.5배 무거우며 스펙트럼 F7인 백색 초거성입니다.

특히 폴라리스 Aa는 인류가 공전궤도로로부터 운동학적 원리를 이용해 질량을 구한 최초의 '세퍼이드 변광성' 이라고 합니다.

'세퍼이드 변광성'은 변광 주기와 절대광도 사이의 정확한 관계성으로 인해 중요하게 쓰인다고 합니다.

 

'북극성(Polaris) Ab'

폴라리스 Ab 입니다.

태양질량의 1.26배이며 스펙트럼 F6의 주계열성입니다.

폴라리스 Aa로부터 18.8AU 떨어져있습니다.

 

 

'북극성(Polaris) B'

폴라리스 B 입니다.

태양 질량의 1.39배이며 스펙트럼 F3의 주계열성입니다.

폴라리스 Aa로부터 2,400AU 떨어져 있습니다.

폴라리스 B는 작은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볼수있다고 합니다.

 

북극성 찾는법

그렇다면 하늘에서 북극성을 찾는 방법은 뭘까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

지난글에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알아보았습니다.

https://ensureblog.tistory.com/32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19. 가을, 9월의 별자리 '카시오페이아 자리' 1편

안녕하세요. 인슈어블로그입니다. 곧 있으면 추석이네요. 다들 추석 연휴 때 뭐하시나요? 시골에 가서 친척들 만나시는 분들도 계실 테고, 여행가시는 분들도 계실테고 여건이 안되어 집에 계시거나 일을 하시는..

ensureblog.tistory.com

https://ensureblog.tistory.com/33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20. 가을, 9월의 별자리 '카시오페이아 자리' 2편

안녕하세요. 인슈어블로그입니다. 이번 시간엔 지난 글에 이어 '카시오페이아자리'를 탐험해보겠습니다. 지난 글을 안보신분은 아래 링크에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9/09/10 - [스페이스엔진] - [SpaceEngi..

ensureblog.tistory.com

아직 보지 않으신분들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이렇게 크게 5개의 별로 이뤄져있는데, 이중 맨 왼쪽, 맨 오른쪽 별의 연장선을 쭉 이어서 만나는 지점을 먼저 찾습니다.

그 후 찾은 그 점과 가운데 별을 이은 거리의 5배만큼 쭉 이으면 그 별이 북극성입니다.

스페이스엔진으로 직접 찾아보겠습니다.

그림판으로 그어봤는데 알아보셨으면 좋겠습니다. ㅠㅠㅠ

 

 

2. 북두칠성을 이용

북두칠성을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기 파란색 거리에 연장선의 5배 거리에 북극성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북극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항상 북쪽에 있는 든든한 별로 우리가 어디에 있던 찾을수 있으니 잘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늘 그 자리에 있는 든든한 북극성

늘 변치 않는 든든한 사람처럼 북극성은 늘 북쪽 그 자리에 있습니다.

이번 글로 북극성에 대해 조금 더 알게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또 혹시 무인도에 들어가시거나 위치를 모르는 곳에 들어가셨을때 하늘에서 북극성을 찾아 방향을 잡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또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