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이스엔진

[SpaceEngine(스페이스엔진)]23. 'J1407b' 슈퍼고리를 갖고있는 슈퍼 토성

안녕하세요. 인슈어블로그입니다.

이제 연휴가 끝나고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야 될 시간이네요.ㅠㅠ

잘 지내셨나요?

'스페이스엔진으로 탐험하는 우주'

 

'J1407b'

이번 시간에는 오랜만에 별이 아닌 행성을 다뤄보겠습니다.

J1407b란?

'J1407b'이름을 보자마자 아실 분은 아실 겁니다.

J1407b는 항성 'J1407'에 속해있는 행성입니다.

그렇다면 스페이스엔진으로 먼저 J1407로 가보겠습니다.

J1407

항성 J1407입니다.

스페이스엔진의 FIND OBJECT로 J1407을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질량도 작은 편이고 행성도 딱 하나만 거느리고 있습니다.

그럼 행성 J1407b를 볼까요?

J1407b

 

 

J1407에서 바라본 'J1407b' 행성입니다.

마치 우리 은하와 흡사할 정도로 큰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까이 가보겠습니다.

J1407b에 도착했습니다.

하얀 고리 가운데에 저렇게 있으니 마치 서울우유 광고 같군요. ㅎㅎ

J1407b의 스펙

J1407b는 '센타우루스자리'방향으로 지구에서 434광년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스페이스엔진에서 구현된 J1407b는 상상도 이지만 저렇게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J1407b의 스펙입니다.

사실 J1407b는 줄임말이며 실제 명칭은 '1SWASP J1407b' 입니다.

질량이 목성질량의 20배 정도 돼서 슈퍼 목성 혹은 갈색왜성으로 분류됩니다.

J1407b이 J1407을 한 바퀴 도는 데는 10년이나 걸립니다.

 

 

J1407b의 '식 현상'

J1407b가 보여주는 특이한 점은 '식 현상' 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식, 월식 같은 그런 식을 말합니다.

2012년 로체스터대 소속 에릭 마마체크는 J1407b의 식 현상을 처음 관측했습니다.

그는 2007년 4월에서 5월사이에 J1407이 56일간 긴 식 현상을 일으키는 걸 발견하였고 이는 J1407b의 고리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J1407b의 고리

J1407b는 위 사진처럼 엄청난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태양계에도 '토성'이 이러한 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J1407b의 고리에는 쨉도 안 되는 크기입니다.

J1407b의 고리 반지름은 약 0.6AU입니다. 

이는 토성 중심과 그 고리 끝 거리의 약 640배 정도 되는 거리입니다.

고리가 큰 만큼 질량도 큰데, J1407b의 고리를 모두 합하면 지구와 비슷한 질량이라고 합니다.

다만, 모항성 J1407의 나이가 1600만 년밖에 되지 않아 J1407b의 고리는 토성같은 고리라기보단 위성이 되기 전의 과도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시간엔 엄청난 고리를 갖고 있는 행성 J1407b를 알아보았습니다.

우주에는 정말 특이한 행성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